# 끄적끄적 #

LH 한국토지주택공사 국민임대 , 공공임대 아파트 정보

국철 2017. 3. 21. 12:58
반응형

LH 에서 진행되는 국민임대 , 공공임대 아파트 정보 공유하려 합니다.


저는 LH 국민임대 아파트에서 살고 있습니다 ~


평수로는 36㎡ 이고 12평 정도 된다고 하네요..거실겸 방 그리고 주방 , 작은방


구조는 이렇게 되있어요 ~


저는 혼자여서 작은평수 밖에 신청할 수 없었고 이 집이 당첨 된 후에 신혼생활을


이 집에서 하고 있습니다. 신혼부부가 살기에는 작지만 적당해요..


제 생각이지만 조건이 되지 않는 신혼부부들은 대출을 받아 빌라 전세나 매매 보다는 나은것 같네요..


우선 LH 아파트는 국민임대 , 공공임대 가 있는데


제가 살고있는 국민임대 아파트는 2년마다 재계약을 해야 하며 최장 30년까지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건 지역마다 다르고 아파트 마다 다르다고 해요.


저는 여기에서 살고 있는지 2년 되었어요 ~ 계약 조건은 조금 까다로워요..


소득은 3인이하 가구 월 평균소득 3,371,660 원 이하 여야 하고 무주택 세대주 여야만 하며


부동산 가액 합산기준 12,600만원 이하여야만 합니다.


그리고 소유하고 있는 자동차는 2,465 만원 이하 여야 합니다.


참 까다롭죠..매번 공고가 뜰때 마다 분양 공고문이 나오며 이를 참조해서 잘 신청하여야 합니다.


저는 와이프가 아직 소득이 없고 조건에 맞아 계속 살고 있어요. 재계약시 조건에 해당되지 않으면


바로 퇴거를 해야 합니다. 저는 임대료 8만원에 관리비 8만원 정도 내면서 살고 있어요 ~


전환보증금을 최대치로 끌어서 넣을 경우 임대료가 점점 낮아집니다.


원래는 임대료가 16만원 정도 인데 저는 최대치로 끌어서 넣어 8만원 대로 떨어졌어요


임대료는 날리는 돈인데 은행에서 더 대출받아 은행 원금을 값는게 돈을 모으는 거죠


40㎡ 이상의 아파트 경우 2인 이상 신청이 가능 하다고 합니다.


거실에 방이 2개 에요..36㎡ 는 방 1개 거실겸 방 1개 라서 조금 작구요


민간 아파트로 들어가고 싶은데 너무 비싸서..저희같은 서민들이 살기에는 LH 국민임대 만한 아파트가 없죠


저는 인천 남동구에 살고 있는데 인천에서 LH 국민임대가 가장 많은 곳은 남동구 입니다.


서울에도 있고 지방에도 있지만 인천이 가장 좋은 것 같아요.


추 후에 공공임대 아파트로 전향할까 생각중 입니다.


공공임대 아파트는 아파트 마다 다른데 평수도 넓고 임대료도 비쌉니다.


5년 이나 10년 후에 분양을 받을 수 있어요. 분양을 받을 수 있는 아파트가 공공임대 아파트 입니다.


그리고 공고는 대부분 3개월 만에 한번씩 뜨는것 같습니다.


LH 쪽에 전화해서 문자 신청을 하면 공고가 뜰때마다 문자로 알려주게 되어있습니다.


저도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물어봐 주세요 ~

반응형